어느 고려인 할머니의 죽음 > 포토에세이(우크라이나)

본문 바로가기

포토에세이
포토에세이-우크라이나
포토에세이-우크라이나 < 포토에세이 < HOME

어느 고려인 할머니의 죽음

  • 김형효
  • 조회 4606
  • 2009.12.03 15:57

"여전히 버리지 못한 조국, 버리지 못한 민족이 있다"

 

고려인 강하늘(강이리나) 할머니의 죽음

 

머나먼 어머니, 아버지의 나라와는 8000km나 떨어진 낯선 나라지만, 익숙한 앞마당처럼 살던 우크라이나에서 68세를 일기로 다른 세상으로 떠나가신 강이리나(강하늘) 할머니를 만났습니다.

 

IE001132497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강이리나(강하늘) 할머니 할머니 집에서 장례법을 묻기위해 필자를 불러 갔다. 영정을 마련하려는 데 사진이 없어 여럿이 함께 찍은 가족사진만 있었다. 그 중에서 할머니 모습만 카메라에 담고 다음날 근교의 화가를 수소문해서 그림을 그려 영정에 쓰라며 가족에게 전해주었다.
ⓒ 김형효
icon_tag.gif강이리나(강하늘) 할머니

처음 만난 것은 지난 10월 20일입니다. 그 다음은 11월 8일 그녀가 다른 세상으로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 장례절차를 묻는 고려인 협회의 연락을 받고 집에 찾아갔을 때입니다. 그녀는 전날 밤 11시에 이승을 떠났다 했습니다. 그녀는 그곳에 없었습니다. 병원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장례식은 5일 가족장으로 준비되고 있었습니다. 보통은 한국처럼 3일장을 치르지만,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에 살고 있는 동생들을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랍니다. 그리고 장례식이 치러진 11월 11일 먼발치에서 관속에 편안한 모습으로 누워있는 그녀를 보았습니다.

 

IE001132498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학생 간이리나 잠들다. 러시아어 발음에서 "ㅇ"발음은 찾아보기가 힘들다. 그래서 아리랑은 아리란, 강은 간으로 발음한다. 인근의 고려인 어른께서 쓰셨다는 학생 간이리나......받침이 틀렸지만, 그냥 서로 조금 틀린 것 괜찮다고 스스로 격려하시는 모습이 서로를 습관적으로 위로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렇게 격려하며 살아왔으리라.
ⓒ 김형효
icon_tag.gif학생 간이리나 잠들다.

IE001132499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운구 시작 운구가 시작되기전 조문객들이 집 밖에서 운구행렬을 기다리며 삼삼오오 이야기를 나누기도 하고 슬픔을 함께하며 서로를 위로하기도 하였다.
ⓒ 김형효
icon_tag.gif운구 시작

사람의 인연이란 참 묘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몇 번을 아니 몇 십 번을 만난 사람의 기억도 오래인 사람이 있고 전혀 까마득한 사람이 있듯이 어떤 사람은 한 번을 만나고도 장례식에 함께 하고 정말 막역한 사람의 장례에도 함께 못하는 경우도 있으니 말입니다. 문득 지난 2001년 연변의 석화 시인 아버지 장례의 예를 창덕궁 인근에서 치렀던 일이 떠올랐습니다.

 

당시 석화 시인은 어머니 병환이 깊어 걱정하고 계시다 한국에 들어오는 일을 미루다가 특별한 차도가 없자 아버지께서 그냥 떠나라고 해서 한국으로 돌아왔는데 한국에 온 이튿날 엉뚱하게도 건강하시던 아버지가 돌아가시는 일이 생겼습니다. 하는 수없이 중국으로 다시 돌아가지도 못하고 필자와 함께 오래된 수첩 속의 사진을 가지고 영정 사진을 만들어 장례식을 치렀습니다. 그때 생면부지인 시인에 아버지의 장례식을 치르기 위해 영정을 만들고 또 그 자리를 찾아 서울 거리를 헤매다가 창덕궁 밖의 조그만 공터에서 장례식을 치렀습니다. 그 사연과 함께 했으면서도 아직도 그 애틋함이 남아있습니다.

 

관련기사 읽기

 

오늘 소개하는 고려인 故강이리나(68세) 할머니는 지난 달 필자를 만났을 때만 해도 참으로 정정하셨고 조금씩 할 수 있는 한국말을 서로 나누었습니다. 혼혈인 손녀가 필자에게서 한국말을 배우고 노래를 곧잘 하는 것을 보고 너무도 기뻐하셨고 후일 꼭 집에 놀러오라는 말씀을 남기셨습니다.

 

당시 며칠 남지 않은 우크라이나 고려인 축제에 나가는 손녀 사비나(한글 이름:하늘꽃)와 필자 등이 준비 사항을 점검하기 위해 고려인 김플로리다 바실리예나 집에 모였습니다. 그때 필자를 반갑게 맞으시면서 푸근한 웃음을 주셨는데 그날의 만남이 만남과 작별의 날이었던 것입니다. 얄궂은 일입니다.

 

IE001132500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운구 시작 손녀 사위가 영정 사진을 들고 그 곁에서 한 사람이 꽃을 던져 마지막 가시는 길에 꽃 징검다리 길을 놓고 있다.
ⓒ 김형효
icon_tag.gif운구 시작

IE001132501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운구차에 오르기 전 평안한 모습으로 보인다. 운구차에 오르기 전 우크라이나와 고려인으로 어우러진 가족 중 젊은이들이 관을 들고 있다.
ⓒ 김형효
icon_tag.gif관에 누운 모습의 강이리나

한 번의 만남이었지만 참 좋은 분이셨습니다. 딱 한 번 만났습니다. 사람의 만남이란 꼭 오래된 만남이 아니라도 편안하고 평온한 만남이 있습니다. 그때 나중에 집에 놀러가기로 약속했는데 그날이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듣고 간 날이 되어 버렸습니다. 혼혈인 손녀가 한복을 빌려 입고 2009 고려인 문화축제에서 춤을 추고 상을 받아왔습니다. 그날이 지난 10월 25일입니다. 그 손녀는 사비나(하늘꽃)라고 합니다.

 

모두가 무대에 올라 마지막 인사를 하는데 저와 함께 참여했던 저의 제자이기도 한 두 아이는 다른 출연자의 옷을 빌려 입은 죄(?)로 마지막 커튼콜에도 나가지 못했습니다. 안타까웠지만, 애써 모르는 척 외면했습니다. 그리고 다음 수업시간에 제가 노트북을 가지고 가서 그때 찍은 사진을 보여주었더니 너무나 좋아라 웃었습니다. 고마운 일이란 생각에 불혹 넘은 사내가 눈시울이 붉어졌습니다.

 

IE001132502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조문객들의 안타까움 평소 가까이 지내던 주변 사람들이 슬픔을 억누르며 운구차에 오르는 강이리나 할머니를 마지막으로 배웅했다. 그리고 곧 각자의 승용차와 버스 한대에 분승해서 묘역으로 향했다.
ⓒ 김형효
icon_tag.gif조문객들

할머니가 돌아가셨지만, 저를 반갑게 웃는 낯으로 맞아주었습니다. 그의 한국이름을 하늘꽃이라 지어주었습니다. 강 이리나 할머니는 더 좋은 아름다운 새로운 세상으로 가셨으리라 믿어봅니다. 그분의 이름을 강하늘로 지어드리렵니다. 그래서 강처럼 하늘처럼 주유하시면서 오래된 조국, 오래된 고국도 둘러 보시라구요. 1937년~38년 스탈린 치하에 우즈베키스탄과 스탄공화국들 그리고 이곳 우크라이나까지 버려진 후손들이라서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에 있는 동생들이 도착하고서야 장례를 치를 수 있었습니다.

 

IE001132503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학생 간이리나 잠들다. 흙 한 줌으로 모두가 예를 표했다. 필자도 흙 한 줌으로 한 번 만났던 강(이리나)하늘 할머니와 작별 인사를 나누었다. 새로운 세상에서 행복하소서~!
ⓒ 김형효
icon_tag.gif학생 간 이리나

IE001132511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남은 장례 문화 필자의 기억으로 한국에서는 동네 어귀에서 망자의 옷가지나 이불을 태운다. 이곳에 고려인들은 묘역에서 태운다며 나이든 할아버지께서 한국에서도 저렇게 태우는가 물었다. 이곳 사람들은 저렇게 하지 않으나 고려인들만 그렇게 한다며......, 아는 게 있어야지 하고 스스로를 한탄하시는 데 겸연쩍고 죄송한 마음이 들었다.
ⓒ 김형효
icon_tag.gif남은 장례 문화

이곳에 와서 처음으로 장례식에 참석하였습니다. 발인이 열리는 내내 어떤 처신을 해야 할 지 종잡을 수가 없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의 눈길이 저를 향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고려인 어른들과 이런 저런 대화를 나누면서 조금은 편안한 시간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분들은 하나의 끈을 잡은 듯이 저에게 장례의 예법에 대해 묻고는 했습니다. 붉은 천에 "학생 간이리나"라고 쓴 것을 보았습니다.

 

IE001132506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김블라디미르의 무덤 김로리사(푸름)의 아버지는 49세를 일기로 작년 10월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갑자기 로리사가 쭈그리고 앉아 홀로 울고 있었다. 그녀는 현재 예빠토리야에서 디자인을 공부하는 대학생이고 필자에게서 한글을 배우는 학생이다. 그 곁에 강이리나도 묻혔다. 둘 다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
ⓒ 김형효
icon_tag.gif로리사의 아버지

IE001132513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하관식을 마친 자매 강이리나 할머니의 누이들이 서로를 위로하고 있다. 이곳의 고려인 여인들의 머리에 흰 천을 둘러메고 남자들은 어깨에 메었다.
ⓒ 김형효
icon_tag.gif하관식을 마친 자매

발인에는 많은 우크라이나 사람과 고려인들이 참석했습니다. 사는 동안 외롭지 않게 사셨구나. 그리고 참 좋은 인연들이 많았구나. 많은 사람들이 형형색색의 꽃을 들고 와 절을 하기도 하고 꽃을 바치고 울먹이기도 했습니다. 제게는 참 낯선 모습이었습니다. 우리와는 너무나도 생김새가 다른 우크라이나인들이 장례식에 와서 장미꽃을 바치는 것도 그렇고 입관한 사체가 있는 관을 두고 예를 차리는 것도 낯선 모습이었습니다. 오전 11시 집안에서의 모든 예를 마치고 운구가 시작되었습니다.

 

손녀 사위가 영정 사진을 들었고 그 뒤로 장례식 참석자들이 따랐습니다. 영정과 함께 운구되는 관이 지나가는 자리에는 꽃이 던져졌습니다. 가는 길에 꽃길을 놓는 것이었습니다. 그런 의식은 운구차가 있는 곳까지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모든 장례식 참석자들이 인근 묘역으로 자리를 옮겨 마지막 하관식을 하기 전에 장례를 주관하는 사람에 의해 기도의식을 가졌습니다.

 

68년이라는 세월 동안 살아온 이승의 길을 떠나 먼 길을 떠나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소요되지 않았습니다. 마지막 가는 길에 여전히 조선의 여인, 조선의 사람, 한 민족의 장례 풍습의 흔적을 안고 가는 그 모습이 바라보는 내게는 정말로 짠한 일이었습니다.  

  • Information
  • 사이트명 : 시사랑
  • 사이트 주소 : www.sisarang.com
  • 관리자이메일 : tiger3029@hanmail.net
  • 운영자명 : 김형효
  • Quick menu
  • Statistics
  • 오늘 : 997
  • 어제 : 1,033
  • 최대 : 18,497
  • 전체 : 1,408,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