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은 세상에 얼마나 살고 있을까? > 포토에세이(우크라이나)

본문 바로가기

포토에세이
포토에세이-우크라이나
포토에세이-우크라이나 < 포토에세이 < HOME

한민족은 세상에 얼마나 살고 있을까?

  • 김형효
  • 조회 4139
  • 2010.03.15 13:17
우크라이나에서 1년, 참 바보처럼 살았습니다 00031322.jpg김형효 (tiger3029) 기자
IE001167676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춤 공연 모습 흐릿하다. 우리들의 기억도 저렇게 흐릿해져버린 것은 아닐까? 내 동족이 아닌 현지 우크라이나 여성들로 구성된 우리의 전통 춤 공연 모습이다. 현지인들을 통해 우리 민족의 전통문화를 지켜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 김형효 icon_tag.gif춤 공연 모습

낯선 동포를 만나며 고민이 깊다

 

설 연휴에 크림 지역의 고려인이 모여살고 있는 두 도시를 찾았다. 한 곳은 크림의 수도인 심페로폴이었고, 다른 한 곳은 장꼬이(ДЖАНКОИ)라는 곳이다. 두 도시 모두 고려인 협회 15주년 행사를 찾았다. 이미 심페로폴 행사에 대해서 소개한 바 있다.

 

두 도시의 행사가 서로 다른 날 열려서 모두 찾을 수 있었다. 필자는 이미 여러 차례 소개한 바 있는 예빠토리야의 고려인 협회장인 김플로리다 바실리예브나의 안내를 받아 행사에 참석했다. 이번 장꼬이는 크림 지역에서도 고려인들이 많이 사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IE001167675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주요 고려인 활동가와 장꼬이 관리 뒷줄 왼쪽 첫번째 사람은 장게르만 장꼬이 고려인협회 회장, 가운데는 끄라스노 페레꼽스키 고려인협히 회장 김계나, 우크라이나 남성은 시관리, 앞줄 왼쪽 시관리, 앞줄 오른쪽은 김플로리다 바실리예브나 고려인협회대표
ⓒ 김형효
icon_tag.gif주요 고려인 활동가와 장꼬이 관리

필자는 우크라이나에서 지낸 지 곧 일 년이 된다. 지난해 3월 4일에 우크라이나에 왔으니, 이제 보름 모자란 일 년이다. 이곳에 와서 유행가 제목 "난 참 바보처럼 살았군요"라는 노래말처럼 정말 바보처럼 살았음을 실감한다. 그것은 나이 46세가 되도록 내 동족이 세상에 얼마나 살고 있는 지를 아직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 모두 건성건성, 대략 몇이 된다는 식으로 말하는 버릇을 이제는 좀 바로 잡았으면 좋겠다. 특히 국가는 지금 무엇을 하는가? 자신의 동족이 세상에 흩어져 살고 있는데 조국은 그 통계조차 제대로 모르고 있다. 이런 생각을 지금에야 하면서 참 서글퍼진다.

 

IE001167682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부채춤 관람중 다섯 명의 부채춤 공연이 진행되는 동안 참석자들이 관심있게 공연을 보고 있다. 협소한 공간이었지만, 열기만은 대단했다.
ⓒ 김형효
icon_tag.gif부채춤 관람중

IE001167677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우크라이나인만으로 구성된 태권도 시범단 엉성한 시범을 보았다. 하지만 어찌 엉성하다고만 할 수 있을까? 저들도 우리의 것을 알리는 사람들이 아닐까? 한국인 사범도 없이 한국어를 사용해가면서 선보인 시범이었다. 격파를 시도한다 하였지만, 제대로 성공시키지 못해 필자가 나서서 손격파 시범을 보이기도 했다.
ⓒ 김형효
icon_tag.gif우크라이나인만으로 구성된 태권도 시범단

얼마 전 심페로폴에서 행사를 마치고 오던 길에 "한국인들은 왜 고려인들을 무시하는가?" 하는 기사를 본 한 분께서 "지금 우리나라 사람들은 힘없고 조금 자신보다 못한 틈만 보이면 그냥 무시하는 버릇이 일반화되어 있다"는 메일을 보내오셨다. 사실 생각해보면 그런 듯하다. 왜, 우리가 이렇게 되었는가? 필자의 나이 어린 시절에만 해도 지금 같지 않았다. 성적순으로 친구를 갈라 세운 적도 없고 경제력의 차이가 있다고 깊은 상처가 될 말들을 함부로 하지는 않았던 듯하다. 그런데 지금은?

 

사실 장꼬이에서 돌아오면서 곧 기사를 작성하고 소식을 전하고 싶었다. 그러나 자책이 길어졌다. 물론 필자가 나서서 할 수 있는 일에는 한계라고 하기에도 민망할 정도로 별 힘이 없다. 그저 눈에 보이는 범위에서 내가 알고 있는 범위에서 느끼는 한계가 크다는 사실을 절감하고 있다. 어쩌면 지금 지적하는 모든 문제들은 우리의 공동체적 가치 속에서 그 이해를 넓히고 민족문제에 대한 하나의 가치가 정립되어야할 것으로 매우 큰 숙제다. 어쩌면 통일과 같은 반열에 놓고 생각해보아야할 의미로 여겨진다.

  

IE001167678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장꼬이의 노래 신동 12세 이름이 기억나지 않는다. 하지만 12살의 어린 소녀는 뛰어난 가창력으로 2009년 우크라이나 노래자랑에서도 수상한 바 있다. 2009년 까레야다에서 "나는 여자이니까"를 열창하여 필자뿐 아니라 다른 단원들도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이번에는 "나는 여자이니까"에 이어 "백만송이 장미"를 부르기도 했다.
ⓒ 김형효
icon_tag.gif장꼬이의 노래 신동 12세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얼마나 되나?

 

낯선 나라에서 길 잃은 짐승(?)처럼 우리 민족이 살아가고 있다. 어제도 필자는 예빠토리야의 소수민족어 선생들과 시문화국 관계자들을 만났다. 지역의 정치인들까지 참석했다. 거기서 논의되는 이야기들을 접하며 또 다른 소외를 느꼈을 고려인들의 모습이 마음을 더욱 아프게 했다.

 

자신이 선 땅이 조국이 아닌 사람은 얼마나 서글플까? 그것도 자신의 조상도 성씨의 유래나 그 역사는 물론 문화에 대해서도 아무것도 올바로 알지 못하고 그저 까레이스키(Корейский:고려인)라고만 알고 있는 사람들이다. 껍데기만 고려인이라고 한탄하며 말하던 김플로리다 바실리예브나의 한탄을 때때로 확인하게 된다.

 

IE001167681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전통춤 공연단 전통춤 공연단원은 한 명의 고려인과 네 명의 우크라이나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공연단이라고 하기에는 민망한 수준이지만, 그들이 필자에게 자랑스러워하는 모습은 우리 문화에 대한 기대를 엿보게 했다.
ⓒ 김형효
icon_tag.gif전통춤 공연단

IE001167679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무엇이 그리 자랑스럽나요? 하나의 목표가 생겼다. 남은 기간 동안 내가 만나는 모든 고려인의 인물 사진을 찍는 것이다. 이번 행사에 참석한 모든 사람의 인물사진을 촬영하였다. 필자를 보고 반갑게 웃으시더니 엄지를 치켜세우셨다.
ⓒ 김형효
icon_tag.gif장꼬이 고려인

그들이 더욱 아픈 것은 어쩌면 자신의 종족들이 말하는 말버릇이 아닐까? 바로 우리다. 사실 그것은 비단 고려인에게만 행해지는 만행(?)은 아니다. 중국 동포에게도, 덜하지만 일본 동포에게도 마찬가지다. 우리들 주변에서 흔히 하는 말이니 독자들께서 들었거나 무심결에 그런 말을 함께 하셨을 지도 모를 일이다. "역사도 모르고 체면도 모르고 문화도 모르고 받으려고만 하는데 뭐 동포는 무슨 동포인가?" 그러나 생각을 달리해보자. 체면도 모르고 문화가 다른 형제는 남인가?

 

이런 경우의 역지사지는 입장이 전혀 다르다. 그냥 기계적인 역지사지만으로 입장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저 편의주의적으로 역지사지하면 간단히 무시하고 외면하는 결과만 초래되고 말 것이다. 그러니 그 숱한 세월 건너에서 온 사람들이 전혀 교육을 받을 기회도 없었고 조국이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고 살아왔다. 그러니 조국의 사람들은 그저 중국 동포도 일본 동포도 고려인도 사해의 모든 동포들이 생존이 가장 큰 일이었다는 것을 이해하고 지금 그 자리에 살아준 것만으로 고마워하면 안 될까?

 

IE001167680_STD.jpg
btn_rcm_s.gif btn_blog_s.gif btn_detail_s.gif
▲ 장꼬이 고려인, 형님! 아우! 장꼬이 고려인들이다. 서로 호형호제 하시며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이곳에 사는 대부분의 고려인들은 농사를 주업으로 하고 있다. 또한 고수익을 올리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안정된 생활 속에서도 조국의 문화를 여유있게 배우지 못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 김형효
icon_tag.gif장꼬이 고려인, 형님! 아우!

 

김치를 만들어주자 반가워하며 먹어보려 했던 그들, 떡국을 끓여 "우리 전통"이라고 말하자 "그러냐"면서 맛있게 먹으며 기뻐하는 그들, 우리 말 한 마디를 서툴게 하고서 "제대로 말했소!"라며 겸연쩍게 웃는 환갑이 넘은 사람들, 형제애를 말하는 시를 듣고 울음을 터트리는 고려인 4세~5세 아이를 생각해보면 안 될까?

 

그리 생각한다면 아마도 그 너머에서 서로 웃고 있는 민족이 보일 것이다. 그러면 우리 서로가 동포애 가득한 눈빛으로 서로 어느 곳에서도 반길 수 있을 것이다. 또 그런 마음자세로 살아간다면 아마도 우리가 우리를 쉽게 무시해버리는 요즘의 세태도 능히 극복되리라 믿어본다.

  • Information
  • 사이트명 : 시사랑
  • 사이트 주소 : www.sisarang.com
  • 관리자이메일 : tiger3029@hanmail.net
  • 운영자명 : 김형효
  • Quick menu
  • Statistics
  • 오늘 : 1,269
  • 어제 : 960
  • 최대 : 18,497
  • 전체 : 1,448,605